2019.10.10 업데이트

각질층(stratum corneum)은 자극물질이 체내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피부장벽 기능을 이미 갖추고 있다. 그러나 변실금 및 요실금 환자(혹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의 회음부 등에서는 피부에 손상을 주는 자극물질에 의해서 피부가 지속적이며 빈번하게 오염이 되므로 각질층 자체의 피부장벽 기능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고 추가적인 피부 보호가 필요하다.1

실금피부염(or 기저귀피부염): 대소변이 피부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 피부 손상이 발생한다. 대소변의 지속적인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회음부 피부의 자극성접촉피부염(irritant contact dermatitis)은 성인의 경우에는 실금피부염(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AD) 라고 부르며2 영유아의 경우에는 기저귀피부염(diaper dermatitis) 혹은 기저귀발진(diaper rash) 이라고 부른다.3 실금피부염(or 기저귀피부염)의 원인은 과도한 양의 수분, 마찰손상, 대소변 등의 자극물질 등을 들 수 있다.2,3 잦은 비누세척은 정상 각질지방을 소실시켜서 수분차단막(moisture barrier) 기능을 약화시켜서 증상의 악화요인이 될 수 있다.3

  • 과도한 양의 수분: 실금이 있는 성인 혹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의 회음부 피부는 대변과 소변에 포함된 수분 혹은 밀폐형 기저귀 내부의 땀 등에 의해서 과도하게 젖게 된다. 진무름(maceration)이 발생하며, 젖은 피부는 마찰에 의해 쉽게 손상되며 자극물질도 더 쉽게 피부를 통해 흡수된다.
  •  마찰 손상: 실금이 있는 성인이나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는 대소변을 볼 때마다 세척을 해야 하며 따라서 마찰 손상이 많이 발생한다. 또한 기저귀와 피부의 접촉면에서 마찰 손상이 발생하는데 젖은 피부에서는 마찰 손상이 더 쉽게 발생한다.
  •  대소변: 소변은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만들며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대변에 포함된 장내 소화효소가 활성화되어서 각질층에 손상을 준다. 또한 알칼리성 환경에서는 대변에 포함된 미생물이 과도하기 증식이 되어 각질층에 추가적인 손상을 준다.
  •  비누세척: 비누 혹은 비누성분이 포함된 물티슈는 정상 각질지방을 소실시켜서 피부장벽의 수분차단막을 손상하게 된다. 수분차단막이 손상되면 자극물질이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피부염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기타 대변으로 인한 피부 손상

  •  항문복원술 후: 항문복원술을 받은 인공장루 환자는 일시적으로 잦은 설사를 경험하게 된다. 항문에 묻은 대변을 휴지로 닦아 내는 과정을 자주 반복하는 중에 항문에 마찰 손상이 발생한다. 이 때에 항문에 남아 있는 대변 잔여물에 포함된 미생물 및 소화효소는 이미 손상된 항문에 추가적인 손상을 주어서 쓰라리고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5
  • 치질 수술 후: 치질 수술 후에도 일시적으로 대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이 있는데, 이 때 대변 잔여물은 위의 경우와 동일하게 항문에 손상을 주어서 따갑고 가려운 증상이 나타난다.5

인용문헌

(1) Gray M, et al. Moisture-associated skin damage. Overview and pathophysiology.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11;38(3):233-241.

(2) Gray M, et al.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A consensus.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7;34(1):45-54.

(3) Chang MW and Orlow SJ. Chapter 143. Neonatal, Pediatric, and Adolescent Dermatology.  In: Freedberg I et al., ed.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ition. New York: McGraw-Hill; 2003: 1366-1386.

(4) Shin HT. Diaper dermatitis that does not quit. Dermatologic Therapy. 2005;18:124-135.

(5) Johnson R. Chapter 113. Diseases and disorders of the male genitalia. In: Freedberg I et al., ed.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ition. New York: McGraw-Hill; 2003: 1091-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