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10 업데이트

실금피부염은?

실금피부염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AD) 은 자극성피부염의 하나로서 피부가 소변과 대변에 접촉될 때에 나타난다.1 실금피부염이 발생하는 부위의 피부는 염증이 발생하며 발적(erythema)이 생기고 표피층의 침식(erosion)이 생겨서 부분층 피부손상(partial-thickness wound)가 된다. 실금피부염(IAD)이라는 용어는 회음부피부염(perineal dermatitis)이라는 용어보다 선호되는데 그것은 피부염이 발생하는 부위가 항문(anus)에서 대음순(labia majora) 혹은 음낭(scrotum) 사이의 피부보다 더 넓은 부위이기 때문이다. 실금피부염은 더 큰 질환 그룹인 습기관련피부손상(moisture-associated skin damage)의 하나이다.2 습기관련피부손상에 포함되는 다른 질환은 간찰진(intertrigo,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염증과 감염), 상처주변 피부진무름(periwound maceration, 만성상처 주변의 피부가 상처에서 나온 삼출액에 의해 진무름, 염증, 피부침식이 발생하는 증상) 등이 있다. 노령자들은 요실금 및 변실금이 많고, 특히 요양원에 계신 분들 중 많은 분들에게 요실금, 변실금이 있으며 따라서 실금피부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피부의 수분장벽(moisture barrier) 기능

피부는 우리의 인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있으며 이것을 피부장벽(skin barrier)라고 부른다. 각질층(stratum corneum )은 5층으로 이루어진 표피층(epidermis)의 가장 바깥 쪽 층으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피부장벽 기능의 주된 역할을 한다.

피부장벽 기능에는 수분장벽기능(moisture barrier), 산성맨틀(acidic mantle), 물리적보호막(physical barrier) 기능이 있다. 수분장벽기능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인체 내부로 수분, 독소, 자극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인체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다. 각질층의 산성맨틀은 피부의 pH를 약산성으로 유지하여 미생물이 비정상적으로 과잉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다. 또한 각질층의 각질세포는 12~16개씩 겹쳐져서 단단한 막을 형성하여 내부의 조직을 물리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각질층의 구조는 “벽돌과 모르타르 (brick and mortar)” 구조로 비유된다. 이 비유에서 각질세포(corneocyte) 가 벽돌에 해당한다. 각질세포는 세포핵과 세포 소기관이 소실되고 작은 케라틴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백질 복합체이다. 각질세포(corneocyte) 내부에는 흡습성이 강한 분자들이 있는데, 이 물질들은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라고 부른다.3 천연보습인자들은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20% 정도가 되도록 유지를 하는 기능을 한다. 천연보습인자의 주요 구성 성분은 케라틴 필라멘트 (keratin filaments)와 필라그린(filaggrin)의 분해에 의해서 생성된 아미노산 등이다. 각질층은 12-16개 층의 각질세포를 가지며, 1개의 각질세포는 평균 1 micro meter 정도의 두께를 가진다. 하지만 나이, 해부학적 위치, UV 노출 여부가 각질세포의 두께에 영향을 준다.

각질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간지질(intercellular lipids)이 벽돌-모르타르 모델의 모르타르에 해당한다. 세포간지질은 세라마이드(ceram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 지방산(free fatty acids)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포간지질은 천연의 수분장벽(moisture barrier)의 기능을 한다. 이 지방 성분들은 과립층(stratum granulosum)의 케라틴세포(keratinocyte)의 내부에 있는 lamellar granules에서 생성된다. 각질층에서의 지방 생성은 pH에 따라 달라지며 알칼리성의 환경에서는 지방생성이 억제된다.4 피부 수분장벽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데에서 널리 인정 받고 있는 임상적인 도구는 없다.  피부 수분장벽의 효율성은 경피수분소실율(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을 통해서 측정된다. TEWL(g/m2/h)은 단위시간당(h) 단위 면적(m2)의 각질층을 통해 이동한 수분의 양(g)을 측정한다.5 TEWL이 적으면 각질층을 통한 수분의 이동이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것은 피부의 수분장벽이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TEWL이 크면, 수분의 이동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하며, 각질층의 수분장벽 기능에 손상이 있다는 뜻이다.

연령에 따른 수분장벽 변화, 실금 및 실금피부염의 발생 빈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각질지방의 생성이 줄어들며 수분장벽의 기능이 떨어진다.6 또한 나이든 피부는 젊은 피부에 비해서 수분장벽이 쉽게 손상되며 수분장벽이 회복되는 속도도 느리다.7 따라서 노령자들은 대소변 등의 자극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때, 실금피부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허약한 노령자들은 요실금과 변실금이 있는 경우가 많다. 70세 이상의 여성의 30% 이상에게 요실금이 있으며 70세 이상의 남성 에서는 15-30%에게 요실금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8 변실금의 경우에는 65세 이상의 노인 중 3-15% 에게 변실금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8 그러나 요양원 혹은 요양병원의 경우에는 요실금 및 변실금의 유병율(prevalence)는 매우 높다. 미국의 경우에는 65~74% 의 요양원 거주 노인에서 요실금이 있었으며8, 46~54%의 요양원 거주 노인에서 변실금이 있었으며,9 전체의 44%의 요양원 거주 노인은 요실금과 변실금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10 노령자들의 높은 실금 유병율을 감안할 때에 실금피부염의 유병률도 높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러나 실금피부염의 유병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실시되지 않았다.

실금피부염의 발생원인

실금피부염은 피부가 소변과 대변에 노출되어 발생한다. 소변은 피부를 과도하게 젖게 만들어서(overly hydrated) 잠재적인 자극물질과 미생물의 피부투과를 증가시킨다.11 정상 피부는 산성 pH를 띤다. 소변의 요소(urea)는 대변에 포함된 세균의 요소분해효소(bacterial urease)에 의해 암모니아(ammonia)로 분해되어서 기저귀 내부 환경의 pH를 상승시킨다.12 이러한 pH의 상승은 대변의 소화효소인 단백분해효소(fecal protease) 와 지방분해효소(fecal lip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며12 활성화된 대변내의 소화효소는 피부에 손상을 준다.13 대변은 대변내의 소화효소, 장내 미생물, 대변에 포함된 수분을 통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대변의 소화효소(단백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피부에 중요한 자극물질이다. 이러한 대변의 소화효소가 일정 시간 이상 (기저귀와 같은) 밀폐 환경에서 피부에 노출되는 경우 중증의 피부발적(skin erythema)이 발생하며 피부장벽 (epidermal barrier) 기능이 저해된다.14 대변에 포함되어 있는 알칼리성인 담즙(Bile salts)도 기저귀 내부의 pH를 상승시킴으로써 대변에 포함된 소화효소(fecal enzyme)에 의한 피부 손상을 더 증가시켜서 기저귀 내의 다른 자극물질에 대해 피부가 더 쉽게 손상을 받게 한다.15

실금피부염에서 피부침식(denudation)이 일어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기여를 하는 것으로 추측이 된다. 대변의 소화효소들이 케라틴 세포의 단백질들을 분해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젖은 피부가 침대의 침대보, 환자복, 기저귀 등과 비벼지면서 발생하는 마찰 손상도 실금피부염에서 볼 수 있는 피부침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16 특히 각질층이 젖었을 때에는 마찰에 의한 피부 손상이 커진다.17

실금피부염이 발생하면 국소적인 피부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진다. Junkin 등은 실금피부염이 있는 입원 환자의 18%가 피부 칸디다감염증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18, Foureur 등은 38명의 실금피부염 환자 중에서 63%가 칸디다감염증을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19

실금피부염의 평가

실금피부염의 진단은 주로 피부에 대한 육안 검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2 밝은 피부색을 가진 환자에서는 소변과 대변에 노출된 피부는 밝은 적색이 되며 피부 표면이 반짝거리는데 그것은 손상받은 피부에서 나오는 삼출액(serous exudates) 때문이다. 어두운 피부색을 가진 환자의 경우에는 소변과 대변에 노출되어 손상 받은 피부는 약한 붉은 색을 띠는데 그것은 손상 받은 피부가 주변의 건강한 피부에 비해 색소침착이 덜 되기 때문이다. 실금피부염은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서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변실금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실금피부염은 항문 주변의 접히는 부분에서 발생하며 항문 근처에서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 요실금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음순의 접히는 부위 혹은 음낭과 허벅지 안쪽의 접히는 부위에서 실금피부염이 흔히 발생한다. 비만인 사람의 경우에는 하복부와 치골 상부의 접히는 부위, 혹은 허벅지 안쪽의 접히는 부위에서 실금피부염이 흔히 발생한다. 실금피부염은 기저귀 아래의 부위에서도 발생한다.

실금피부염이 있을 때에는 피부가 벗겨져서 부분층창상(partial-thickness wound)도 흔히 일어난다. 피부가 벗겨진 부분은 불규칙한 모양의 섬(irregularly shaped islands)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 부분에서는 투명한 삼출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피부의 괴사(necrosis)는 보이지 않는다. 설사를 많이 하는 환자나 변실금과 요실금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 기저귀를 계속 사용하는 환자에서는 넓은 부위의 피부가 실금피부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피부가 접히는 부위의 바닥에서는 피부침식이 매우 흔하게 발견되므로 피부를 검사할 때에는 꼭 확인을 하여야 한다.

실금피부염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는 피부칸디다감염증(cutaneous candidiasis)이 흔히 발생한다.18,19,20 칸디다는 사람에게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균이지만, 인체의 방어능력이 떨어지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피부칸디다감염증은 Candida albicans 혹은 Candida속의 다른 균종이 피부에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선명한 적색의 반구진(maculopapular red rash)과 주변의 위성농포(satellite lesions)가 나타난다. 변실금 및 요실금, 기저귀 착용에 의해 형성된 고온 다습한 환경 등에 의해 진무름이 발생하거나, 각질층의 피부 장벽이 손상될 경우에 피부칸디다감염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급성으로 아픈 환자의 경우나 움직일 수 없는 노령의 환자에서는 실금피부염인지 아니면 심층부 조직손상(deep tissue injury)인 욕창(pressure ulcer)인지를 잘 구별할 수 있어야 추가적인 피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미국의 국립 욕창자문단(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에서는 심층부조직손상을 압력(pressure) 혹은 전단력(shear force)에 의해 연조직이 손상을 받아서 검붉은 색 혹은 자주색으로 변한 피부 (피부 자체는 손상받지 않은) 부위라고 정의하고 있다.21 이처럼 심층부조직손상을 입은 부위는 실금피부염과 몇 가지 면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첫째, 심층부피부손상이 발생한 부위는 실금피부염에 의해 염증이 생긴 부위에 비해서 더 어두운 색을 띤다. 둘째, 심층부피부손상은 뼈가 돌출한 부분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실금피부염은 피부가 접히는 부위나 대소변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의 피부에서 나타난다. 셋째, 어두운 피부색깔을 가진 사람에게는 심층부조직손상은 상처 바닥을 뒤덮은 얇은 물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넷째, 심층부피부손상은 가피(eschar)에 덮여 있을 수 있는데, 실금피부염에서는 가피가 절대 나타나지 않는다.

실금피부염의 예방

실금피부염의 예방은 피부가 대변과 소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세척(cleansing)-보습(moisturizing)-보호(protection)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회음부 피부관리 프로그램(structured skin-care program)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피부관리는 매일 해야 하며 대소변을 본 후에도 해야 한다. 임상적인 경험이나 연구에 의한 증거들은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한 때 마다 하는 목욕보다 실금예방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을 보여준다.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은 규칙적인 세척과 습기차단제(moisture barrier, 피부보호제(skin protectant)라고도 함)을 꼭 포함해야 한다.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 1단계: 안전한 회음부 피부 세척

변실금 혹은 요실금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훨씬 자주 세척이 필요하며 올바른 세정 방법의 선택이 실금피부염(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AD) 예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누성분을 사용하여 피부를 세척하면 각질층의 정상적인 유분이 소실되어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한다. 또한 비누성분은 피부의 pH를 증가시켜서 미생물이 쉽게 증식할 수 있게 하여 피부염이 유발되기 쉬운 환경을 만든다. 실금피부염의 예방을 위해서는 회음부 피부 세척을 위해서 고안된 천연지방으로 피부를 세척하는 그리고 비누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천연지방피부세척제(no-rinse skin cleanser)가 전통적인 비누-물 세정과 타월을 이용한 건조 방법보다 좋다.

비누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서 기름을 물과 잘 섞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누는 기름과 함께 엉겨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비누는 오염물질 뿐 아니라 정상적인 피부(각질층)의 유분도 제거하므로 피부의 수분차단막 기능이 손상된다. 각질층의 수분차단막 기능이 손상되면, 외부의 자극물질이 더 쉽게 피부를 투과하게 되며 피부에 손상을 주게 된다.22 비누(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세척은 각질층 지방을 소실시킴으로써 그리고 비누 성분 자체의 알칼리성에 의해 피부의 산성도를 알칼리성으로 상승시킨다. 피부의 pH가 알칼리성으로 상승하면 미생물이 비정상적으로 증식되어 여러 피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알칼리성 pH는 각질층 지방의 정상적인 배열을 방해하여 수분차단막을 손상시키며, 각질세포의 탈락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질층을 손상한다.23 비누세척에 의해 피부의 산성도가 알칼리성으로 변화하면 각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빨리 탈락(premature desquamation)하게 된다.23 각질세포의 탈락으로 각질층이 얇아지고 이것은 물리적 보호막이 약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변실금 및 요실금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빈번한 세척이 필요하다. 세척과정에서 타월 혹은 손으로 피부를 문지르게 되는데 이 때에 마찰 손상이 발생한다.

Byers 등은 액체비누와 물을 이용한 피부세척이 비누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따라서 물로 다시 씻어낼 필요가 없는) 천연지방피부세척제 (no-rinse skin cleanser)에 비해서 피부의 TEWL, 홍반, pH 를 더 많이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22  Voegeli 는 비누와 물을 이용한 비누와 물을 이용한 세척이 물만으로 세정하는 것에 비해서 피부의 TEWL, 홍반, pH 를 더 많이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24 또한 흔히 (고체와 액체) 비누는 목욕타월(washcloth)와 함께 사용되는데, 목욕타월 사용은 환자의 피부에 추가적인 마찰 손상을 주기 쉽다. 이상의 연구들은 비누 성분을 이용한 피부 세척이 환자의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건조 방법도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타월을 이용한 건조 방법은 피부에 마찰 손상을 주어서 피부의 장벽기능을 저해할 수 있다. Voegeli 는 타월을 이용한 건조 방법은 자연 건조를 하는 방법에 비해 TEWL 을 많이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24 Gray 는 실금피부염의 예방을 위해 천연지방피부세척제가 비누와 물을 이용한 세정과 타월을 이용한 건조보다 우수하다고 주장하였다.16 이상의 연구들은 피부손상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실금환자(혹은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영유아)에 대한 이상적인 피부세척제는 비누성분이 포함되지 않아야 하며 세척시에 목욕타월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세척 후에도 타월을 이용한 건조가 필요 없는 천연지방피부세척제라는 점을 시사한다.25

실금환자를 위해서 고안된 천연지방피부세척제는 천연지방으로 피부를 세척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비누성분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서, 피부(각질층)의 정상적인 유분을 소실시키지 않는다. pH는 피부와 유사하게 약산성 혹은 자극이 없도록 중성에 맞추어져 있어서 피부의 pH를 알칼리성으로 상승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피부에 자극을 주는 비누성분이 없으므로 씻어내지 않아도 되므로 타월을 이용한 건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손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글에서 사용된 “실금환자를 위한 천연지방피부세척제”는 해외 논문에서는 no-rinse cleanser라고 지칭된다. 그러나 현재 노린스(No Rinse)라는 용어는 미국의 No-Rinse Laboratories, LLC의 등록상표이며 트리에탄올아민로릴설페이트(Triethanolamine lauryl sulfate, TEA lauryl sulfate, 비누성분)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CAPB, 양성이온성계면활성제, 2004년 미국알러지학회에 의해서 “올해의 알러지 유발물질”로 선정됨)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취약한 실금환자에게 사용한 후에 물로 씻어낼 필요가 없는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혼동을 피하게 하기 위해서 no-rinse cleanser를 “천연지방피부세척제”라고 명칭 하였다.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 2단계: 보습제의 적용

변실금 혹은 요실금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 훨씬 자주 세척을 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각질층의 지방이 소실되어 천연의 수분장벽 기능이 떨어진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각질지방의 생성이 줄어들며 수분장벽의 기능이 떨어진다.6 각질층의 수분장벽 기능이 저하되면 피부는 수분을 외부의 (건조한) 대기에 빼앗겨서 건조해 진다. 따라서 (노령의) 실금 환자의 경우에는 보습제를 규칙적으로 발라주는 것이 중요하다. 보습제는 건조한 대기와 자극에 의해 건조하고 거칠며 각질이 일어나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는 외용제로 정의할 수 있다.26 보습제는 물, 피부밀폐막형성물질(occlusive agents), 습윤제(humectants) 등을 주성분으로 만들어진다. 피부밀폐막형성물질인  페트롤라툼(petrolatum), 라놀린(lanolin), 디메치콘(dimethicone), 비즈왁스(besswax) 등의 소수성(hydrophobic, 물을 밀어내는) 물질은 피부표면에 수분차단필름(occlusive film)을 형성하여 피부의 수분을 건조한 대기로 빼앗기는 것을 차단한다. 습윤제는 우레아(urea),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 락틱액시드(lactic acid) 등의 흡습성이 강한 물질(hygroscopic substances)로서 물분자와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물분자를 끌어당기는 역할을 함으로써 각질층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습윤제는 (습도 80% 이하의)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각질층 이하의 조직에서 수분을 끌어 당기므로 지속적인 보습 작용을 위해서는 피부밀폐막형성물질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보습제는 막형성물질과 습윤제를 모두 포함한다. 보습제는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의 독립된 한 단계로 적용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천연지방피부세척제에 포함되어 있다.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 3단계: 피부보호막의 형성

회음부 피부에 꾸준히 습기차단제(moisture barrier, 피부보호제, skin protectant 라고도 함)를 발라주는 것이 실금피부염의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습기차단제는 연고 타입의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의료기기)로서 피부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대소변, 자극 물질, 미생물이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회음부(혹은 기저귀 부위)의 피부를 보호한다. 피부의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각질지방으로 구성되는데, 각질지방은 인체 외부의 수분과 자극물질이 피부를 통하여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수분차단막(moisture barrier)의 기능을 갖고 있다. 습기차단제의 피부밀폐막형성성분(occlusive agents)은 각질층의 표면 혹은 내부로 흡수되어 피부 자체의 정상적인 각질지방의 수분차단막 기능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습기차단제는 페이스트(paste)나 연고(ointment)로 만들어져 있으며 오일(oil), 크림(cream), 로션(lotion)에 비해서 점도가 높고 벗겨진 피부에 잘 부착된다. 습기차단제를 바른 후에 피부에 남아 있는 부분은 닦아내지 말고 그대로 두어도 문제가 없다. 회음부 피부에는 대소변의 피부 접촉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막이 항상 유지되어야 하므로 실금이 있은 후에 기저귀 등을 교환할 때마다 충분한 양의 습기차단제를 다시 발라줘야 한다.

대부분의 습기차단제는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페트롤라툼(petrolatum), 디메치콘(dimethicone) 등을 함유하고 있다. 징크옥사이드는 자극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페트롤라툼은 피부진무름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성질이 강하며, 디메치콘(dimethicone)은 피부 건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강하다.27

실금피부염 및 기저귀발진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습기차단제를 발라야 한다. 습기차단제는 연고 타입의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의료기기)로서 피부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대소변, 자극 물질, 미생물이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회음부(혹은 기저귀 부위)의 피부를 보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 시판 중인 기저귀피부염에 사용할 수 있다고 광고를 하는 대부분의 기저귀크림은 보습, 진정을 주목적으로 하는 보습제(화장품)이다. 보습제류의 기저귀크림은 소변 등의 수분에 녹아서 소실되므로 습기차단제가 아니며 대소변으로부터 피부를 차단하는 피부보호막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제품들은 실금피부염 및 기저귀피부염의 예방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국내에서 실금피부염 및 기저귀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습기차단제는 의료기기(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로 허가되어 있다.

실금피부염의 치료

실금피부염의 치료와 관련해서는 연구가 많이 되어 있지 않다. 실금피부염의 치료에 관해서는 임상적 경험과 전문가의 의견에 기초하여 치료법이 만들어졌다. 실금피부염의 예방에서처럼 실금피부염의 치료도 세척(cleansing)-보습(moisturizing)-보호(protection)로 이루어진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structured skin-care program)으로 시작하여야 한다. 체계적인 피부관리는 실금이 많이 발생하였을 때 마다 실시되어야 하는데, 특히 변실금이 있은 후에는 반드시 실시하여야 한다. 체계적인 피부관리 프로그램은 천연지방피부세척제와 습기차단제를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천연지방피부세척제는 천연지방으로 피부를 세척하며, 비누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세척제로서 안전한 피부 세척이 가능하게 한다. 습기차단제는 연고 타입의 점착성투명창상피복재(의료기기)로서 피부의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대소변, 자극 물질, 미생물이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회음부(혹은 기저귀 부위)의 피부를 보호한다. 보습제는 일반적인 보습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습제의 경우에는 천연지방피부세척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도 많은데 이처럼 2-in-1 제품을 사용하면 간호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실금피부염에 의해 이차적으로 칸디다감염증이 발생한 때에는 국소 항진균제(antifungals)를 사용하여야 한다. Polyene antibiotics, azoles, allylamines 등이 효과적이다.28 카네스텐 파우더와 같은 항진균 파우더(antifungal powder)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파우더를 얇게 뿌리고 그 위에 습기차단제를 발라 주어야 추가적으로 피부가 대소변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금피부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 대변과 소변을 일시적으로 우회시키기도 한다. 유치도뇨관(indwelling urinary catheter)을 이용하여 소변을 일시적으로 우회함으로써 피부에 소변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유치도뇨관을 사용하는 것은 (병원획득) 요로감염증(hospital-acquired urinary tract infection)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일시적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대변제거장치(indwelling fecal drainage system)를 이용하여 대변을 우회시키는 시술이 많이 수행된다. 이 장치는 대변을 저장백에 모을 수 있도록 고안되어서 피부에 대변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변제거장치도 출혈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일시적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

인용문헌

  • Gray M, et al.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a review.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7; 34(1):45-54.
  • Gray M, et al. Moisture vs pressure: making sense out of perineal wounds.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7; 34(2):134-142.
  • Verdier-Sevrain A and Bonte F. Skin hydration:a review of its molecular mechanisms. J Cosmet Dermatol. 2007; 6:75-82.
  • Hachem JP, et al. Sustained serine proteases activity by prolonged increase in pH leads to degradation of lipid processing enzymes and profound alterations of barrier function and stratum corneum integrity. J Invest Dermatol. 2005; 125(3): 510-520.
  • Van der Walk PGM, et al.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its relation to barrier function and skin irritation. In: Fluhr J, et al. Bioengineering of the skin, water and stratum corneum. 2nd ed. Boca Raton (FL): CRC Press. 2005:97-104.
  • Ghadially, R, et al. Decreased epidermal lipid synthesis accounts for altered barrier function in aged mice. J Invest Deramtol. 1996; 106:1064-1069.
  • Ghadially, R, et al. The aged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structural, functional, and lipid biochemical abnormalities in humans and a senescent murine model. J Clin Invest. 1995;95:2281-2290.
  • Boyington JE, et al. Differences in resident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nursing home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Nurs Res. 2007;56(2):97-107.
  • Hunskaar S, et al. Epidemiology of urinary and fecal incontinence and pelvic organ prolapsed. In: Abrams P, et al. Incontinence:basics and evaluation. 3rd ed. Paris: Health Publications Ltd. 2005:255-312.
  • Borrie MJ and Davidson HA. Incontinence in institutions: costs and contributing factors. CMAJ 1992;147(3):322-328.
  • Leyden JJ, et al. Urinary ammonia and ammonia producing microorganisms in infants with and without diaper dermatitis. Arch Dermatol. 1997;113:1678-1680.
  • Berg RW, et al. Etiologic factors in diaper dermatitis: the role of urine. Pediatr Dermatol. 1986;3:102-106.
  • Willis I. The effects of prolonged water exposure on human skin. J Invest Dermatol. 1973;60:166-171.
  • Andersen PH, et al. Faecal enzymes: whereas human skin irritation. Contact Dermatitis. 1994;30:152-158.
  • Buckingham KW and Berg RW. Etiologic factors in diaper dermatitis: the role of feces. Pediatr Dermatol. 1986;3:107-112.
  • Gray M. Optimal management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in the elderly. Am J Clin Dermatol. 2010;11(3):201-210.
  • Atherton DJ. The aetiology and management of irritant diaper dermatitis.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1;15:1-4.
  • Junkin J and Selekof JL. Prevalence of incontinence and associated skin injury in the acute care patient.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7;34(3):260-269.
  • Foureur N, et al. Prospective etiological study of diaper dermatitis in the elderly. Br J Dermatol. 2006;155(5):941-946.
  • Bliss DZ,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erineal dermatitis in nursing home residents. Nurs Res. 2006;55(4):243-251.
  •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Updated staging system

. Available from URL: http://www.npuap.org/pr2.htm [Accessed 2011 September]

  • Byers P et al. Effects of Incontinence Care Cleansing Regimens on Skin Integrity.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1995; 22(4): 187-192.
  • Rawlings AV, Harding CR. Moisturization and skin barrier function. Dermatol Ther. 2004;17(suppl 1):43-48.
  • Voegeli D. The Effect of Washing and Drying Practices on Skin Barrier Function.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8;35(1):84-90.
  • Black JM, et al. MASD Part 2: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and intertriginous dermatitis. A consensus.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11;38(4):359-370.
  • 김도원 등. Chapter 28. 피부미용학.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5판. 서울,여문각, 2008:847-873.
  • Hoggarth A, et al. A Controlled, Three-Part Trial to Investigate the Barrier Function and Skin Hydration Properties of Six Skin Protectants. Ostomy Wound Manage. 2005;51(12):30-42.
  • Evans EC and Gray M. What interventions ar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utaneous candidiasis? J Wound Ostomy Continence Nurs.  2003;30:11-16.

* 이 논문의 저작권은 아모젠메디칼에 있습니다.

* 본 사이트는 학술논문에 바탕을 둔 최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전문의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진단 및 치료는 반드시 담당 질환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합니다.